KANS

방사선과 안전규제의 만남

  1. 1. 방사선 기초
    • 1. 방사선
    • 2. 원자, 원자핵
    • 3. 방사성 붕괴 및 방사성 붕괴양식
    • 4. 방사능
    • 5. 방사선의 단위
    • 6. 핵분열과 원자력발전
  2. 2.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
    • 1. 생활주변의 방사선
    • 2.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
  3. 3.방사선 재해방지 및 공공안전을 위한 방사선 안전규제
    • 1. 방사선 피폭의 위험성
    • 2. 방사선 피폭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 방호
  4. 4. 연간 방사선 피폭 선량 한도
    • 1. 연간 전신 피폭량 한도
    • 2. 신체 조직별 연간 피폭량 한도
  5. 5. 방사선 이용
  1. Ⅰ. 방사능 기초

    1. 1. 방사선

      가. 정의
      • 방사선은 공간을 흐르는 에너지이다.
      • 방사선은 불안정 원자가 안정 원자로 되면서 방출하는 에너지이다.
      방사선과 방사능
      방사선의 종류와 파장
      나. 종류
      • 이온화 능력에 따라 이온화 방사선, 비 이온화 방사선 등으로 분류
        • 이온화 방사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X선 등
        • 비 이온화 방사선: 가시광선, 자외선 등
      • 방사선의 실체에 따라 입자방사선, 전자파방사선 등으로 분류
      • 생성 원에 따라 자연방사선, 인공방사선 등으로 분류
        • 자연방사선: 태고 때부터 자연계에 존재하고 있는 지각 방사성원소로부터의 방사선과 우주 방사선
        • 인공방사선: 핵분열 원자로에서 우라늄/토륨 등의 핵분열로 생성되 거나 또는 입자가속기로부터 생성된 방사성원소들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중성자선, X선 등), X선 발생장치로 부터의 X선, 전자가속기로부터의 전자선 등 방사성원자의 종류(방사성 핵종)가 같으면 그 핵종 생성원이 자연이건 인공이건 무관하게 방출 방사선도 같다.

      2. 원자, 원자핵

      가. 원자
      • 세상의 모든 물질은 분자의 집합이고 분자는 원자로 되어있다. 원자는 중앙에 핵이 있고 전자가 그 주위에 있는 구조이다.
      방사선 종류
      원자핵으로부터의 방사선
    2. 나. 원자핵
      • 양성자와 중성자로 되어있고 핵속의 양성자수는 그 원자번호와 같다.
        • 원자핵의 질량은 양성자 수와 중성자 수의 합이다.
      • 핵종: 원자핵 속의 양성자수와 중성자수에 주목한 핵의 종류를 말한다.
      • 동위원소, 방사성동위원소: 핵 속의 양성자 수는 같으나 중성자 수가 같지 않은 핵종을 동위원소라고 하며, 동위원소 중 방사선을 내는 것을 방사성동위원소라고 한다.
        • 수소원자핵은 양성자 1개로 되어있고 그 주변을 전자 1개가 돌며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수소원자핵 속에 양성자 1개와 중성자 2개를 가진 핵종은 3중수소이고 수소와 동위원소의 관계이며 방사선을 내므로 수소의 방사성동위원소이다.

      3. 방사성 붕괴 및 방사성 붕괴양식

      가. 방사성 붕괴
      • 에너지를 과량 갖고 있어서 불안정한 원자인 방사성원자는 그 과량의 에너지를 방사선으로 방출하고 안정한 원자로 돌아간다. 이 과정을 방사성붕괴라고 한다.
    3. 나. 방사성 붕괴 양식
      • 알파 붕괴: 어미핵종은 알파입자(질량 수=4)를 방출하고 원자번호가 2만큼, 질량 수가 4만큼 각 각 줄어든 딸핵종이 된다.
      • 베타 붕괴: 어미핵종은 음전자나 양전자를 방출하고 원자번호가 하나 많거나 적은 원자인 딸핵종 이 된다.
        • 음전자방출;양성자수보다중성자수가많은핵종에서일어남; 중성자(n) → 양성자(p)+음전자(e-)+반중성미자(ν)
        • 양전자방출;양성자수보다중성자수가별로많지않은핵종에서일어남; 양성자(p) → 중성자(n)+양전자(e+)+중성미자(ν)
      • 감마 방출: 높은 에너지상태인 방사성원자가 감마선을 방출하고 보다 낮은 에너지상태인 원자로 돌아간다.
        양성자 수가 변동이 없어 원소변환은 일어나지 않는다.

      4. 방사능

      • 방사성 원자의 방사선을 내는 능력을 방사능이라 한다. 1초에 1개의 방 사성 원자붕괴를
        1 베크렐(Bq)이라고 하며,
        이것은 방사능의 국제표준 (SI)단위이다.
      방사선의 종류와 파장
    4. 5. 방사선의 단위

      방사선의 조사(노출), 흡수, 피폭의 인체영향 등 각각에 대해 단위가 달리 정해져 있다.
      • 조사선량: 조사장에서의 조사선량률 F(R/hr) = Γ×A/r2 , r ; 거리(m), A: 방사선 원의 방사능(Ci), Γ; 조사선량률 정수(R - m2/hr - Ci) SI단위: C/kg,즉,조사받는 물질 kg당의C(쿨롱)
        • 고전적 단위: 조사선량률;시간당뢴트겐;R/hr, 조사선량: 뢴트겐(R), 1 R=2.58×10-4 C/kg
        • 같은 조사량이라도 물질에 따라 흡수선량은 달라진다. 약 1 MeV의 감마선 조사량이 1R 일때 사람이나 물의 흡수선량은 약 1rad이다.
      • 흡수선량: 물질1kg에 흡수된 방사선량;SI단위;Gy(그레이).1Gy=1J/kg, 고전적 단위: rad, 1Gy=100rad
      • 등가선량(H): 피폭 방사선의 종류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단위 등가선량 H(Sv) = 흡수선량(D)×방사선가중치(WR) WR ;감마선,X선,베타선1,알파선및100keV~2MeV중성자;각20 등
      • 유효선량(E): 피폭 방사선의 종류와 피폭 신체부위를 동시에 고려한 선량단위 ; 유효선량 E(Sv) = (등가선량×각 생체조직 가중인자)의 전체 피폭조직에 대한 합계 즉 E(Sv)= ∑T(WT×H) WT;조직 가중 인자, ∑T;피폭된 모든 조직에 대해 합산 WT ;적골수0.12, 방광0.05, 피부0.01, 전신1.0등

      6. 핵분열과 원자력발전

      • 우라늄-235는 대표적인 핵분열성 원자이다. 일정 질량 이상의 농축된 우라 늄-235에 중성자를 충격하면 핵분열 되어 핵분열생성물(질량수가 99 근처 등 여러 종류의 핵종들)을 만들면서 막대한 에너지를 열과 방사선형태로 내 놓는다. 이 때 2~3 개의 중성자도 새로 발생되며 그것이 또 다른 우라 늄-235원자를 충격하여 핵분열하므로 연쇄핵분열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연쇄반응을 일정한 속도로 조절, 열에너지에 따른 증기압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 원자력발전이다.
  2. II.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

  3. III. 방사선 재해방지..

  4. IV. 연간 방사선 피폭선량 한도

  5. V. 방사선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