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 방출: 높은 에너지상태인 방사성원자가 감마선을 방출하고 보다 낮은 에너지상태인 원자로 돌아간다. 양성자 수가 변동이 없어 원소변환은 일어나지 않는다.
4. 방사능
방사성 원자의 방사선을 내는 능력을 방사능이라 한다.
1초에 1개의 방 사성 원자붕괴를 1 베크렐(Bq)이라고 하며,
이것은 방사능의 국제표준 (SI)단위이다.
방사선의 종류와 파장
5. 방사선의 단위
방사선의 조사(노출), 흡수, 피폭의 인체영향 등 각각에 대해 단위가 달리 정해져 있다.
조사선량: 조사장에서의 조사선량률 F(R/hr) = Γ×A/r2 , r ; 거리(m), A: 방사선 원의 방사능(Ci), Γ; 조사선량률 정수(R - m2/hr - Ci)
SI단위: C/kg,즉,조사받는 물질 kg당의C(쿨롱)
고전적 단위: 조사선량률;시간당뢴트겐;R/hr, 조사선량: 뢴트겐(R), 1 R=2.58×10-4 C/kg
같은 조사량이라도 물질에 따라 흡수선량은 달라진다. 약 1 MeV의 감마선 조사량이 1R 일때 사람이나 물의 흡수선량은 약 1rad이다.
흡수선량: 물질1kg에 흡수된 방사선량;SI단위;Gy(그레이).1Gy=1J/kg, 고전적 단위: rad, 1Gy=100rad
등가선량(H): 피폭 방사선의 종류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단위 등가선량 H(Sv) = 흡수선량(D)×방사선가중치(WR)
WR ;감마선,X선,베타선1,알파선및100keV~2MeV중성자;각20 등
유효선량(E): 피폭 방사선의 종류와 피폭 신체부위를 동시에 고려한 선량단위 ; 유효선량 E(Sv)
= (등가선량×각 생체조직 가중인자)의 전체 피폭조직에 대한 합계 즉 E(Sv)= ∑T(WT×H)
WT;조직 가중 인자, ∑T;피폭된 모든 조직에 대해 합산 WT ;적골수0.12, 방광0.05, 피부0.01, 전신1.0등
6. 핵분열과 원자력발전
우라늄-235는 대표적인 핵분열성 원자이다. 일정 질량 이상의 농축된 우라 늄-235에 중성자를 충격하면 핵분열 되어
핵분열생성물(질량수가 99 근처 등 여러 종류의 핵종들)을 만들면서 막대한 에너지를 열과 방사선형태로
내 놓는다. 이 때 2~3 개의 중성자도 새로 발생되며 그것이 또 다른 우라 늄-235원자를 충격하여 핵분열하므로
연쇄핵분열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연쇄반응을 일정한 속도로 조절, 열에너지에 따른 증기압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 원자력발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