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S

방사선과 안전규제의 만남

  1. 1. 방사선 기초
    • 1. 방사선
    • 2. 원자, 원자핵
    • 3. 방사성 붕괴 및 방사성 붕괴양식
    • 4. 방사능
    • 5. 방사선의 단위
    • 6. 핵분열과 원자력발전
  2. 2.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
    • 1. 생활주변의 방사선
    • 2.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
  3. 3.방사선 재해방지 및 공공안전을 위한 방사선 안전규제
    • 1. 방사선 피폭의 위험성
    • 2. 방사선 피폭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 방호
  4. 4. 연간 방사선 피폭 선량 한도
    • 1. 연간 전신 피폭량 한도
    • 2. 신체 조직별 연간 피폭량 한도
  5. 5. 방사선 이용
  1. Ⅰ. 방사능 기초

  2. II.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

    1. 1. 생활주변의 방사선

      평상시 일상생활에서 받는 방사선: 대지로부터의 자연 방사선, 우주 방사선, 체내 자연방사선 등

      가. 대지로부터의 자연 방사선
      • 우라늄, 토륨 등의 자연 방사성계열 원소가 지각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의 후 손핵종 중 라돈의 방사선이 비교적 많다. 라돈은 알파선을 방출하는 가스이며 우리에게 비교적 많은 피폭을 준다. U-238 → → ... →Rn-222, Th-232 → → ... → Rn-220 등
      나. 우주 방사선
      • 우주방사선은 태양계 밖 별들의 폭발에 따라 생긴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이다. 지구표면의 대기와 만나 양성자와 작은 원자핵 등 2차 입자방사선을 만들고 그 일부가 지표에까지 도달된다.
        따라서 지표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더 많은 우주방사선을 받게 된다.
      다. 체내 자연 방사선
      • 주로 음식물 섭취에 따라 체내에 들어오는 자연방사성 핵종은 칼륨(K)-40, 납 (Pb)-210, 폴로늄(Po)-210, 탄소(C)-14 등이다. 생물은 부단히 호흡하고 음식물을 섭취하므로 체내 방사선 준위는 일생동안 자연방사선 준위와 어느 정도 평형을 유지한다.
      몸 안과 식품 속의 방사성물질양(몸무게 60Kg 한국인)
    2. 2.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

      일반인이 일상생활에서 받는 방사선량은 인공 방사선원에 따른 양보다 자연 방사선에 따른 양이 훨씬 많다.
      의료 피폭량을 제외한 일반국민의 방사선피폭량 비율은 다음과 같다.

      • 자연방사선 피폭량 85 %(연간 약 2.4 mSv)
      • 인공방사선 피폭량 15 %(약 0.4 mSv)
        • 직업피폭 0.3 %
        • 방사선 낙진에 의한 피폭 0.2 %
        • 가전제품(TV, 전자레인지 등)에 의한 피폭 < 0.3 %
      일상생활속 방사선
  3. III. 방사선 재해방지..

  4. IV. 연간 방사선 피폭선량 한도

  5. V. 방사선 이용